-
목차
수업 주제
“다문화 사회에서 필요한 리더십은 무엇인가?”
– 몽골 제국과 이슬람 문명을 통해 보는 포용적 리더십수업 목표 (핵심 역량 중심)
역량세부 내용수업 흐름
1. 도입: 오늘날의 다문화 사회 문제 살펴보기 (10분)
- 뉴스 클립 시청: 현대 유럽 내 이민자 문제, 혐오 범죄 이슈 등
- 질문 제시: "문화가 다양한 사회를 어떻게 잘 이끌 수 있을까?"
- 학습 목표 안내: 과거 리더들의 통치 방식을 통해 현대적 리더십을 배우기
2. 전개 1: 쿠빌라이 칸의 다문화 통치 전략 분석 (15분)
- 배경 설명: 몽골 제국의 확장, 다양한 민족·종교·언어가 공존한 구조
- 포용적 통치 사례:
- 한족의 행정관 등용
- 이슬람 상인의 경제 활동 장려
- 티베트 불교와의 연계
- 핵심 질문: “쿠빌라이 칸은 왜 다양한 문화를 존중했을까?”
* 활동:
- 인물별 ‘가상 인터뷰 만들기’ (한족 관리, 무슬림 상인, 몽골 귀족 등)
3. 전개 2: 바그다드 ‘지혜의 집’과 학문 중심 리더십 (15분)
- 배경 설명: 아바스 왕조의 황금기, 바그다드의 지식 중심 도시 운영
- 통합 사례:
- 그리스·인도·페르시아 지식 번역
- 종교·언어 구분 없이 학자 초청
- 교육, 관용, 과학 중심의 통치
- 핵심 질문: “지식의 힘이 왜 지속 가능한 리더십을 만들었을까?”
*활동:
- ‘지혜의 집’에서 일하는 학자가 되어 회의록 작성 (팀별)
4. 정리: 리더십의 공통점과 현대 적용 (10분)
- 공통 키워드 도출: 포용, 다양성 존중, 융합, 협력
- 학생 주도 정리 발표: “이 시대의 리더가 배워야 할 점은?”
5. 확장 활동: 현대 리더 인터뷰 글쓰기 (과제)
주제: "내가 만나고 싶은 글로벌 리더 – 어떤 가치를 중시하는가?"
- 실제 인물도 가능 (예: 마크 저커버그, 무함마드 유누스 등)
- 상상 속 리더도 가능
- 쿠빌라이 칸이나 알마문 칼리프의 가치 중 어떤 것을 본받는지 포함
평가 기준 제안
평가 요소관찰 포인트확장 수업 아이디어
- 동아시아의 다문화 통치 사례(예: 청나라의 만한 병용 정책)로 비교
- 현재의 다문화 리더 (저신다 아던, 오바마 등)와 연계
-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연결한 윤리적 리더십 수업으로 확장
수업 지도안 요약 (50분 수업 기준)
단계 시간 교수-학습 활동유의점글로벌 리더의 덕목 – 쿠빌라이 칸과 알마문 칼리프를 통해 본 통합의 리더십
역사를 통해 우리는 시대를 이끈 리더들이 단순한 권력자가 아닌 조율자이자 통합자였다는 사실을 배울 수 있다. 특히 몽골 제국의 쿠빌라이 칸과 이슬람 문명의 황금기를 연 알마문 칼리프는 다양성을 존중하고, 문화를 융합하며, 지식을 통해 세상을 넓힌 리더였다.
쿠빌라이 칸은 정복 후 파괴가 아닌 통합의 길을 선택했다. 한족, 티베트 불교, 이슬람 상인 등 다양한 세력을 존중하며 이들을 제국의 일부로 포용한 것은 그가 다문화 이해력과 포용력을 갖춘 리더였음을 보여준다. 이는 오늘날 글로벌 사회에서 필요한 문화 간 조정 능력과 일맥상통한다.
한편, 알마문 칼리프는 바그다드에 ‘지혜의 집’을 세우고 그리스·인도·페르시아의 학문을 번역하고 연구하는 데 막대한 투자를 했다. 그는 지식의 힘으로 사람과 사회를 이끄는 리더십을 실천했다. 이 사례는 현대 사회에서 리더에게 요구되는 비판적 사고, 과학적 사고, 학문적 겸손의 중요성을 환기시킨다.
두 사람은 모두 공통적으로 공존의 가치를 실현하려는 통치자였다. 이들은 종교, 인종, 지식 배경이 다른 이들을 억압하지 않고 함께 살아갈 수 있는 구조를 설계했다는 점에서 오늘날의 글로벌 리더가 갖추어야 할 덕목을 잘 보여준다.
결국, 글로벌 리더란 지식과 권력을 모두 갖추되, 그것을 타인을 위해 사용하는 사람이어야 한다. 다양성의 존중, 융합의 사고, 평화적 협력은 지금의 청소년들이 역사 수업을 통해 배우고 실천할 수 있는 미래형 가치다.
'미래를 위한 모든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어가 패권을 만든다 – 글로벌 시대의 소통과 한국어의 가능성 (0) 2025.04.19 강대국은 왜 반복해서 등장하는가? 문명사로 본 패권 국가의 비밀과 미래 전략 (0) 2025.04.18 글로벌 리더는 이렇게 자란다: 세계사 교육이 키우는 국제 감각 (0) 2025.04.16 국경을 넘어 세계 시민을 기르는 역사 교육 (0) 2025.04.15 역사 속에서 배우는 지속 가능성의 교훈: 기술만으로는 부족하다 (0) 2025.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