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eon 님의 블로그

laeon 블로그는 미래 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지식을 탐구합니다. 더 나은 세상을 위해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공유합니다. 당연하게 여겨지는 일들에 대해 한번 더 생각할 수 있는 콘텐츠가 되는 것을 추구합니다.

  • 2025. 4. 11.

    by. laeon

    목차

      1. 지루한 역사 수업, 바꿔야 할 때가 왔다

      역사 수업은 오랫동안 암기 중심의 교육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연도, 사건명, 인물만을 외우는 방식은 학생들의 흥미를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역사적 사고력과 맥락 이해력을 키우는 데에도 한계가 있다. 디지털 기술이 교육 현장에 빠르게 스며들고 있는 지금, 수업 방식에도 변화가 필요하다.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역사를 살아있는 지식으로 체감하며, 스스로 의미를 구성하는 학습이 절실하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 속에서 ‘학생 참여형 역사 콘텐츠 제작 프로젝트’는 매우 주목받는 수업 모델로 떠오르고 있다.

       

      2. 학생 참여형 역사 콘텐츠 제작 프로젝트란?

      개념과 진행 방식

      이 프로젝트는 학생들이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을 중심으로 주제를 정하고, 팀이나 개인 단위로 콘텐츠를 기획·제작하는 방식이다. 수업 시간은 물론, 온라인 협업 도구나 디지털 편집 툴을 적극 활용해 실질적인 콘텐츠 결과물을 도출한다.

      진행 단계는 다음과 같다.

      1. 주제 선정 및 탐색
        예) '조선의 세금 제도', '유관순과 여성 독립운동가들', '근현대사의 언론 자유'
      2. 기획 및 자료 조사
        인터넷, 도서관, 신문 자료 등을 조사하여 내용을 구성
      3. 콘텐츠 제작
        영상, 웹툰, 카드뉴스, 블로그 글, 인터뷰 형식 등 다양
      4. 발표 및 공유
        교내 발표회, SNS 업로드, 유튜브 채널 개설 등
      5. 피드백 및 평가
        교사와 동료 피드백을 통해 점검 및 개선

      학생들은 이 과정을 통해 단순한 지식 습득을 넘어서,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디지털 표현력을 키우게 된다.

       

      3. 기대되는 교육 효과

      ① 역사적 사고력 강화

      직접 자료를 조사하고 이야기를 구성하면서 역사적 인과관계, 시대적 맥락에 대한 이해가 깊어진다.

      ② 창의력과 표현력 증진

      학생들은 영상 편집, 디자인, 글쓰기 등 자신만의 방식으로 역사를 해석하고 표현한다.

      ③ 자기 주도 학습력 향상

      기획부터 발표까지 책임지고 수행하면서 자기 주도성이 자연스럽게 길러진다.

      ④ 협업 능력과 소통 역량 강화

      팀으로 작업하며 의견을 조율하고 공동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협력 경험을 쌓는다.

      ⑤ 디지털 리터러시 습득

      디지털 도구 활용 능력은 물론, 온라인 콘텐츠 제작 윤리나 저작권 인식도 함께 자란다.

       

      4. 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가상 시나리오

       

      '우리 동네 독립운동가를 찾아서' 프로젝트

      학생들은 지역사와 연계해 ‘우리 동네 독립운동가’를 주제로 콘텐츠를 제작한다. 학생들은 구청이나 도서관, 박물관을 직접 방문하고, 지역신문 아카이브를 뒤져 인물과 사건을 조사한다. 그 결과물은 유튜브 영상 시리즈와 블로그 포스팅으로 정리한다

      이 활동을 통해 멀게 느껴지던 역사 이야기를 자신의 이야기로 받아들이면서 지역사를 생생하게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

      ‘역사 웹툰 창작 프로젝트’

      한국사 수업에서 ‘역사 웹툰’을 만드는 프로젝트 수업을 진행한다. 학생들은 조별로 조선시대의 의궤, 고려 무신정권, 4.19 혁명 등 다양한 주제를 선택하여 시나리오를 쓰고 직접 그림을 그리거나 디지털 툴로 작업해 웹툰을 완성한다.

      '역사 뉴스룸 운영'

      교실을 ‘역사 뉴스룸’으로 변신시켜 본다. 학생들은 역사 기자가 되어 사건을 취재하고 뉴스 형식으로 재구성한다. 예를 들어, 임진왜란 발발 당시를 다룬 뉴스 클립, 일제 강점기의 문화 탄압을 고발하는 앵커 멘트 등은 마치 실제 뉴스 방송을 보는 듯한 퀄리티로 제작한다.

      이 체험 수업은 학생들의 몰입도와 만족도 모두 매우 높일 수 있다.

       

      4-1. 해외 실제 사례: 미국의 ‘Living History’ 프로그램

      미국 중등학교에서는 ‘Living History’라는 프로젝트형 수업이 활발하다. 학생들은 특정 시대의 인물이 되어 인터뷰 형식의 영상을 만들고, 당시 사회를 설명하거나 토론하는 식으로 콘텐츠를 제작한다.

      예) ‘링컨이 살아 돌아왔다면?’, ‘중세 여성들의 삶과 선택’, ‘냉전 시대 CIA 요원의 증언’ 등

      • 역사적 공감 능력을 키우는 데 초점
      • 드라마 요소, 연기, 시나리오 구성 등 융합적 접근
      • 영어, 사회, 미술 과목과 통합 운영

       

      5. 교사의 역할과 수업 설계 팁

      조력자로서의 교사

      이 프로젝트에서 교사는 지식을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강사’가 아니라, 학생의 탐구와 창작을 이끄는 가이드가 된다. 주제 선정 과정에서 방향을 잡아주고, 자료 수집과 편집 방법을 안내하며, 최종 결과물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역할이 중요하다.

      수업 설계 시 유의점

      • 학생들의 흥미와 수준을 고려한 주제 제공
      • 콘텐츠 제작 기술에 대한 사전 안내
      • 과정 중심 평가 기준 마련 (조사력, 창의성, 표현력 등)

      필요한 지원

      • 영상 편집 도구, 그래픽 툴, 디지털 기기 등 장비 지원
      • 결과물 발표 기회 제공 (전시회, 교내 대회, SNS 공유)
      • 시간적 여유 확보 (장기 프로젝트로 편성)

       

      6. 참여형 수업이 바꾸는 역사 교육의 미래

      학생 참여형 역사 콘텐츠 제작 프로젝트는 단순히 재미있는 수업이 아니라, 미래 인재를 키우는 교육 혁신의 실현이다. 암기와 수동적 수용에서 벗어나, 학생이 주도적으로 역사를 구성하고 표현하며, 비판적 사고를 키우는 경험을 제공한다.

      이러한 수업이 전국적으로 확대된다면, 교실은 ‘시험 준비 공간’이 아니라 ‘창조의 장’으로 거듭날 것이다.
      학생 중심의 교육이 실현되는 시대, 역사 수업도 그 흐름 속에 변화해야 한다. 

       

      학습자가 직접 만드는 역사 콘텐츠? 참여형 프로젝트 수업의 모든 것